대장내시경 실비 청구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대장내시경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며, 직접 조회가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바로 조회해 보세요!
1. 대장내시경 비용
비용은 검사의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검사의 과정에서 조직검사나 용종 제거가 필요한 경우 비용이 추가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공시된 가격을 바탕으로 정리하면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비수면 대장내시경: 평균 76,751원(상급종합병원 151,503원, 종합병원 102,624원, 일반병원 72,401원)
- 수면 대장내시경 추가: 약 3만원
- 조직검사 추가: 10~20만원 선
- 용종 제거 추가: 1개당 10~15만원 내외
2. 대장내시경 실비 청구 불가능한 경우와 가능한 경우
실비 청구가 불가능한 경우
증상이 없이 단순히 건강검진의 차원에서 대장내시경을 받고 끝난다면 실비 청구가 불가능합니다. 건강보험공단의 국가암검진 프로그램을 통해서 받은 경우도 실비 청구가 어렵습니다.
또한 일부 보험사에서는 수면마취 비용을 보장하지 않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대장내시경 자체를 보장하지 않는 보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자신이 가입한 보험 계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단순한 건강검진을 하고, 용종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 가입한 보험이 대장내시경 관련해서 보장하지 않는 경우
에는 실비 청구가 어렵습니다.
실비 청구 가능한 경우
단순한 건강검진을 하더라도 대장암이나 용종의 의심 소견이 있어 조직검사를 진행하거나, 용종 제거 등 치료 목적이 포함된 경우에 실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이게 아니라면 의사의 판단에 의해 검사를 시행해야만 합니다. 소화불량이나 혈변, 복통 등의 증상이 있어 의사가 대장내시경을 권유하고 검사했다면 실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 단순 건강검진 후 용종이 발견되어 조직 검사 또는 용종 제거
- 의사 판단에 따라 검진을 했지만 아무 문제가 없는 경우
- 의사 판단에 따라 검진 후 용종이 발견되어 용종을 제거하거나 조직검사를 한 경우
에 대장내시경 실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3. 대장내시경 실비 청구해서 받으려면
위의 분류에서 우리는 지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검사 후 용종이 나올지 안 나올지는 우리가 미리 예측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검진을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러나 의사의 판단도 의사의 몫이겠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의사의 판단에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소화불량이나 복통으로 인한 검진
소화불량이나 복통은 흔한 증상입니다. 이런 증상이 있을 때, 내과를 방문해서 진료를 본 후 대장내시경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내과 방문하기 전에 검진센터가 갖춰진 곳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혈변 또는 변 이상으로 인한 검진
혈변이 흔한 증상은 아니지만 변 상태가 며칠 간 좋지 않은 것은 종종 있는 일입니다. 이럴 때 항문외과를 방문해서 진료 후, 대장내시경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검진센터가 있는 병원을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장 검사 예약시에는 장 비우는 약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검사 예약시 아래 글을 먼저 확인하시길 추천합니다.
약 종류 및 장단점👆저의 경우에도 간단한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했고, 대장내시경에 대해 문의하자 간단한 상담과 함께 바로 예약이 가능했습니다. 반전은 검사 후 용종이 발견되었다는 점이죠. 꼭 실비 때문이 아니더라도 간단한 증상이 있을 때 병원 방문해서 검사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결론
대장내시경 실비 보장으로 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검사하실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검사해서 건강 지키시기 바랍니다.